여행 답사

밀양의 사명대사 생가

헛발질 어중개비 2008. 2. 20. 19:15
 

 경남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에 사명대사(1544 중종39 ~1610 광해군2) 의 생가가 있다.

 조선 중기의 스님. 본관은 풍천(豊川). 속명은 임응규(任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사명당(四溟堂) 혹은 송운(松雲) 별호는 종봉(鍾峰) 아버지는 수성(守成)이며,

어머니는 달성서씨(達城徐氏)이다. 7세 무렵부터 할아버지에게 〈사략 史略〉을 배웠으며,

13세에 황여헌(黃汝獻)에게 〈맹자〉를 배웠다. 묘향산 보현사(普賢寺)로 휴정(休靜)을 찾아가서 수행에 정진했다.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일으켜 왜군을 무찔렀다. 1594년 4월부터 1597년 3월 사이에

적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와의 4차례 협상회담에 참여했다. 난이 끝난 직후에 일본에 건너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를 만나 성공적인 강화를 맺고 귀국했으며,

대마도주 종의지(宗義智)에게 우호를 강조하는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시문에 능하여 저술이 많았으나 임진왜란 때 거의 불타버렸고,

<사명대사> 7권과 <분충서난록 奮忠紓難錄> 1권, 기타 상소문 발문 서장 등이 전한다.

해인사 홍제암(弘濟庵)에 대사를 기려 탑과 비를 세웠다. 밀양 표충사(表忠祠),

묘향산 수충사(酬忠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이다.

 

 일본에 갔을 때 목욕탕에 넣고 불을 때었으나 얼음을 얼게 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며,

밀양 무안 홍제사의 표충비각에 사명대사의 땀비가 있는데,

나라에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땀을 흘리기로 유명하다. 

 

 

 

 

                                                                                       사명대사 생가

 

 

 

 

 

                                                                                  사명대사 생가 본채

 

 

 

 

 

 

                                                                                  사명대사 생가 본채 뒤의 사당 숙청사

 

 

 

 

 

 

 

                                                                                      숙청사에 모신 사명대사의 영정

 

 

 

 

 

 

 

                                                                                         생가 앞의 마을 모습

 

 

 

 

 

 

                                                                                 사명대사 기념관-2006년 4월 8일 개관

 

 

 

 

 

 

       

                                                                                   기념관 앞뜰에 세운  사명대사 동상

 

 

 

 

 

 

                                                                                  기념관 뜰에 세운  사명대사 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