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축제

진동 큰줄 당기기

헛발질 어중개비 2008. 2. 26. 17:08
 

  진동 큰줄 당기기


  옛날에는 정월 대보름이 되면 우리나라 농촌의 어느 마을에서나 줄 당기기를 하고,

달이 떠오르면 달집에 불을 놓고 한해 농사의 풍년과 집안의 우환을 없애주고 행운이 있기를 달집에 빌고

떠오르는 달님에게도 빌었습니다. 우리 민족의 소박한 꿈과 정성이 묻어나는 미풍양속이었습니다.

  세월이 흐르다보니 많이 변했지요. 컴퓨터 세상에 아파트 생활이 대표되는 현실에

마을 사람들이 모여 줄을 당기고, 달집에 불 지르는 향수는 쉽게 맛볼 수가 없게 되었지요.

 

  그래도 어디 전통 놀이를 재현하는 데가 없을까 수소문 하다가 경남 마산의 진동면에서 큰줄 당기기를 한다는 걸

알게 되어 그리로 달려갔습니다. 그러고 보니 이제 전통 줄 당기기를 하는 마을이 몇 군데 아니군요.

경남의 영산(중요무형문화제 제26호) 충남 당진의 기지시(중요무형문화제 제75호) 경남 의령(경남 무형문화제 제20호)

경남 남해 선구 마을 줄끗기(경남 무형 제26호) 그밖에 전라도의 나주 보성 순천 정읍 부안 등지에서

마을의 신앙 대상인 입석에 옷 입히기(줄 감기)를 위해 작은 줄을 만들어 당기는 정도로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나 봅니다.

  진동의 줄은 크기가 대단했어요. 암줄의 머리는 지름이 3.5m이고 길이는 120m였어요.

숫줄도 길이는 같았지만 머리는 약 3m 정도였고요. 이 줄은 삼국시대 때부터 당겨 왔다고 하는데,

중간에 중단되었다가 1965년에 재현하여 마을 축제행사로 이어오고 있습니다.

 

  1992년부터 농업경영인단체에서 진행하다가 2003년부터 진동민속보존회가 발족되어

행사를 맡아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1992년도부터 쳐서 올해로 햇수는 제 17회이고,

공식명칭은 <진동 큰줄다리기 및 달맞이행사>라고 하네요.

가수와 국악인의 초청공연과 노래자랑을 벌여 푸짐한 상품도 주고,

국밥과 막걸리를 마을 어른들께 대접하여 넉넉한 인심을 맛보게 하여 현장의 냉기를 훈훈하게 했습니다.

 

 

 

 

 

 

                                                                                    진동 줄의 위용

 

 

 

 

 

                                                                   거대한 진동 줄의 모습

 

 

 

 

 

                                                                               긴 줄의 모습

 

 

 

 

 

    

                                                                         S-라인. 어 부끄럽군요.

 

 

 

 

 

 

                                                                        달집에 소원 성취를 비는 두 여인

 

 

 

 

 

 

                                                                                      소원성취 발원문과 기

 

 

 

 

 

 

                                                                       달집에 올리는 제물

 

 

 

 

 

 

 

                                                                      달집에 올리는 어느 어린이의 반성문

 

 

 

 

 

 

                                                        마산 진동의 동천가 줄당기기 현장에 모인 군중들

 

 

 

 

 

 

                                                                 드디어 줄을 당길 수 있도록 비녀목을 질렀습니다.

 

 

 

 

 

 

                                                                 줄에게 바치는 고사

 

 

 

 

 

 

                                               징을 치면 동부군과 서부군이 서로 당긴다.

 

 

 

 

 

 

                                                                              푸짐한 쇠고기 국솥

 

 

 

 

 

 

                                                                          막걸리 2차를 준비했음

 

 

 

 

 

 

                                                                                                      구경오신 어르신들께 국밥과 막걸리를 대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