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를 찾아서

만덕사지

헛발질 어중개비 2010. 5. 22. 15:56

만덕사지를 가다

 

동래에서 구포로 넘어가는 중간 지점에 제법 높은 만덕고개가 있다. 금정산 상계봉의 끝자락에 해당한다.

옛날부터 동래장과 구포장이 크고 거래되는 물량이 많기로 유명했기에 많은 사람들이 넘나들었던 고개다.

 

고려시대에는 산세 좋고 경치 좋은 이곳에 <만덕사>란 큰 절이 있었는데,

북쪽의 범어사와 버금가는 유서 깊은 절이었다고 한다.

한때 고려의 왕실에서 미움을 받던 왕족 석기가 이 절로 유폐되어 생을 마감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절이 크고 사세가 넉넉했던지라 오가는 방문객이 많아 주지스님이 골치를 앓았다 하는데,

하루는 지나가는 도사에게 어쩌면 손님이 끊기겠는가를 물었더니

산골짜기에서 내려오는 물줄기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즉 대천으로 흐르게 하면 손님이 끊기리라고 했다.

주지스님은 좋아라고 그렇게 했는데, 손님은 끊겼지만 절이 망하게 되었다 한다.

 

이곳에는 동서의 길이 68m, 남북의 길이 54m, 높이 4m의 축대가 남아 있는데,

만덕사의 중심 건물인 금당의 옛터로 추정되고 있다.

그밖에 여기저기서 여러 개의 초석이 발견되었는데, 옛날에는 아주 큰 절이 있었던 자리임을

잘 알 수가 있다고 한다. 그래서 부산시 지정 문화재 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어 있다.

 

 

 

 

                                                                                    사진 복사를 불허함

 

 

                                                                        만덕사지 임시불단-부처님 오신날

 

 

 

 

 

 

  

 

                                                                 만덕사지 입구의 도롯가에 있는 표지석

 

 

 

 

 

 

 

 

                                                      부처님 오신날 만덕사지의 임시 불단에 경배 가는 불자들

 

 

 

 

 

 

 

 

                                                      절 입구에서 경건하게 절하는 불자들==금정산 상계봉 만덕사라는 팻말이 보인다.

 

 

 

 

 

 

 

 

                                                    부처님을 찾아뵈온  불자들이 그늘 아래서 휴식하고 있다.

 

 

 

 

 

 

 

 

                                                         봉축 연등의 색깔이 곱다. 공양 후에 커피도 한 잔 하고...

 

 

 

 

 

 

 

 

                                                       절터에 임시로 마련된 야단법석--불자가 많으면 원래 야단법석을 마련했다지요.

 

 

 

 

 

 

 

 

                                                 한 보살이 불단에 마련된 아기부처님을 목욕을 시키고 있다.

 

 

 

 

 

 

 

 

 

                                                                           만덕사 아기부처의 관욕

 

 

 

 

 

 

 

 

                                                           점심공양 시간 --소풍인 양 아이들은 즐겁다.

 

 

 

 

 

 

 

 

                                                           점신 공양간은 바쁘다.--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산다. 아가씨들 분발이요.

 

 

 

 

 

 

 

 

                                                                줄을 잘 서야 비빔밥 공양을 얻어 먹을 수가 있다.

 

 

 

 

 

 

 

 

                                                                 만덕사지 임시불단 아래 야단법석이 마련되어 있다.

 

 

 

 

 

 

 

 

                                                             부처님께 경배를 마친 사람들이 돌아갈 준비를 하고 있다.

 

 

 

 

 

 

       

                                               부처님께 절하고 점심 공양하고 돌아가는 사람들--뭔가 만족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