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를 찾아서

목어(木魚)

헛발질 어중개비 2018. 11. 2. 10:31

목어(木魚)에 대해서는 당나라 승려 백장선사의 <백장청규(百丈淸規)>에 이야기가 나오는데,

처음에 목어는 절의 공양간에 매달아 공양시간을 알리기 위해 쳤다고 한다.

 

현장법사가 천축국을 순례한 후 어느 집에 머물게 되었는데, 후처가 전처의 아기를 물에 던지는 걸 보았다.

남편이 귀가하여 후처에게 물고기가 먹고 싶으니 강에 가서 큰 물고기를 잡아오라고 했다.

잡아온 물고기의 배를 가르자 아기가 아직 살아 있었다.

현장법사는 물고기의 희생(犧牲)을 보답하기 위해 목어(木魚)를 만들어 쳤다고 전한다.

 

 

 

                                                                       경북 영천 팔공산 거조암의 목어

 

 

 

 

 

 

                                                                      부산광역시 백양산 선암사의 목어

 

 

 

 

 

 

                                                                        전북 고창 선운사의 목어

 

 

 

 

 

 

                                                                   경북 대구시 달성 유가사의 목어

 

 

 

 

 

 

                                                                       경북 김천시 청암사의 목어

 

 

 

 

 

                                                                  경북 영천시 팔공산 은해사의 목어

 

 

 

 

 

                                                                            경북 예천 용문사의 목어

 

 

 

 

'산사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천사 자방루  (0) 2019.04.07
목어 목어(木魚) 이야기  (0) 2018.11.02
여자 산신  (0) 2018.11.01
국청사 국청사  (0) 2018.10.06
연등 아름다운 연등  (0) 2018.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