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촌장 순례

전통시장 재래시장

헛발질 어중개비 2017. 3. 2. 12:27

 

항간에서는 사람들도, 그리고 언론에서도 전통시장과 재래시장을 구분하지 않고 그냥 마구 쓰고 있다.

그 이유는 전통시장과 재래시장에 대한 개념을 모르기에 그런 것이다.

 

전통시장이란 말 그대로 역사와 전통을 지니고 있는 시장을 말한다.

여기서 전통이란 첫째,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어야 하고,

둘째, 지속성이 있어야 하며(중간에 단절 되면 안 된다),

셋째, 무변성이 있어야 하며(중간에 성격이나 내용이 변하면 안 된다)

넷째 자기만의 특성을 지녀야 한다.

 

예를 들면 정선오일장은

①3백년 이상의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②중단됨이 없이 지속되어 왔고, ③오일장으로서의 성격을 변함없이 지켜왔으며,

④산나물과 메밀배추전병, 강냉이 음식(올챙이묵 콧등치기)등의 특산물을 팔아왔는데,

이것이 이 시장의 특성이다.

 

이러한 시장이 전통시장이다. 우리나라에는 봉평장, 평창장, 북평장, 송정역시장, 상주오일장,

의성 탑리 오일장, 안계 오일장 등등이 전통시장이라 할 수 있는데, 이제 이러한 전통시장이 많지 않다.

 

재래시장이란 우선 보기에는 전통시장과 별반 다른 점이 없어 보이지만, 위의 4가지 조건을 갖추지 않은

그냥 옛날식 시장을 말한다. 역사도 깊지 않고, 그 시장만이 지니는 어떤 특성도 없는 시장이다.

찝어서 말하자면 역사가 오래지 않는 구식시장이 모두 다 재래시장에 해당하는 것이다.

 

 

 

                                                                   강원도 정선 오일장의 들머리 모습

 

 

 

 

 

 

                                                          강원도 정선 오일장  말린 산나물 가게

 

 

 

 

 

 

                                                               원도 정선 오일장  약초뿌리 더덕과 도라지

 

 

 

 

 

 

                                                                  강원도 정선 오일장 메밀 전병 가게

 

 

 

 

 

 

                                                              강원도 정선 오일장 메밀 배추전과 전병

 

 

 

 

 

 

 

                                                                   경남 의령의 한 재래시장의 모습

 

 

 

 

 

 

                                                                    경남 의령의 한 재래시장의 모습

 

 

 

 

'우리 촌장 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천장  (0) 2018.06.02
좌천 오일장  (0) 2018.05.18
추석 대목장  (0) 2010.09.14
밀양 무안장  (0) 2008.10.12
영산장  (0) 2008.09.19